학습 개요
-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을 초기에는 인간과 컴퓨터, 인간과 가상 환경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 사회적 · 심리적 문제를 주로 다루었음
-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컴퓨터, 자연 환경, 인공 환경 등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기술 융합 특징을 지닌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 진화하면서 기존 학문, 기술, 서비스 부문에 이르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변화를 주도하고 있음
- 마우스를 사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가 대중화되면서 상호 작용에 대한 편이성이 증가하였지만, 완전한 인간 중심적인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관련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함
- 최근에 지능형 서비스 로봇이 생활의 필수품으로 발전하며, 로봇을 초고속 인터넷과 연결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URC 기반 서비스 로봇으로 발전하고 있음
- 사람의 말과 몸짓, 표정, 목소리 등으로 사람의 의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맞는 행동을 하기 위한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HRI) 기술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점차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이를 구현하려는 노력과 인간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지에 대한 연구들에 대해서 공부함
- 인간과 컴퓨터/인간과 로봇과의 상호 작용 개념과 그 중요성을 다루고 이와 관련된 주요 기술들을 공부함
학습 목표
- 인간의 음성 인식, 음성 합성, 자연어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 기술을 이해함
- 인간과 컴퓨터와의 상호 작용의 정의 및 특징을 이해하고, 실제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음
- 인간과 로봇과의 상호작용의 정의 및 특징을 이해하고, 실제 상호 작용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음
강의록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
개요
-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HCI: Human Computer Interaction)
- 사람들이 쉽고 편하게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학문
- 확장 된 개념의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
-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 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매개로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작용도 포함하는 개념
Intel ACAT(Assistive Context Aware Toolkit) 솔루션
뉴럴 링크
NI SENSOR
-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의 구성 요소
- 인간
- 컴퓨터
- 상호 작용
- 태스크(task)
- 상황(환경 정황)
HCI 구성 요소의 주요 특징
구분 | 주요 특징 |
---|---|
인간 | HCI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
인지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잘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파악하여 컴퓨터(시스템)와 조화롭게 일함 | |
자신의 정서와 감성이 외부의 자극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파악할 수 있음 | |
컴퓨터 (시스템) | 인간과 협업하는 HCI의 중요한 구성 요소 |
PC, 노트북, 유비쿼터스 컴퓨팅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 디지털TV, 지능형 가전 등을 포함 | |
상호 작용 | 인간과 컴퓨터 간에 오가는 HCI의 중요한 구성 요소 |
HCI가 궁극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산출물, HCI를 상호 작용 설계(Interaction Design)로 정의하기도 함 | |
컴퓨터와 인간의 상호 작용, 컴퓨터를 매개로 인간과 인간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 작용도 포함 | |
태스크 | 인간이 컴퓨터를 통하여 달성하려는 것으로 HCI의 중요한 구성 요소 |
작업 현장에서 제품의 제조 과정을 통제하는 것과 같은 기능적인 태스크, 인터넷에서 보고 싶은 영화를 내려받아 보는 감성적인 태스크 등을 포함 | |
상황 (환경 상황) | 인간이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와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제공하는 환경 |
동일한 상호 작용일지라도 어떠한 환경 조건에서 그 상호 작용이 진행되는 가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발생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의 목적
- 시스템을 사용할 사용자의 인지 프로세스를 어떻게 하면 컴퓨터와의 상호 작용에 잘 적용하느냐 하는 것
- 효율적인 HCI 시스템을 만든다면 개인이나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높일 수 있음
- HCI의 효과를 수치로 직접 파악하기는 어려움
- HCI의 장점은 대부분 숨겨져 있고 직접 인지할 수 없으며 비수치적이기 때문임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의 주요 고려 사항
구분 | 내용 |
---|---|
사용성 측면 | 에러 발생률 및 작업 피로감 감소 |
사용자 만족감 증대 및 성취감 고취 | |
작업 시간 활용 최대화 | |
개발사 측면 | 개발자에 대한 신뢰도 유도 |
서비스 개발 및 제품 매출 촉진 |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의 중요성 및 발전 단계
- HCI의 발전 단계
- 컴퓨터 시스템 중심 → 성숙 단계 → 인간 중심 단계
HCI의 발전 단계: 컴퓨터 시스템 중심 단계
단계 내용 예 컴퓨터 시스템 중심 컴퓨터 처리 능력 부족 펀치 카드 입력 시스템, TTY(전신 타자기), 키보드, 흑백 CRT, 라인 프린터 등 소수 전문가에 의한 컴퓨터 사용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의 HCI 사용 HCI의 발전 단계: 성숙 단계
단계 내용 예 성숙 컴퓨터 성능 향상 및 보급 확대 다양한 형태 키보드 : QWERTY, 드보락 다수 전문가/일반인이 컴퓨터 사용 시작 다양한 포인팅 장치 : 마우스, 라이트펜, 조이 스틱, 터치 스크린, 트랙볼 등 보다 편리한 HCI 모색 컬러 모니터 다양한 입출력 I/F 등장 GUI의 발달 초보적인 멀티미디어 지원 HCI의 발전 단계: 인간 중심 단계
단계 내용 예 인간 중심 컴퓨터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 다 기능 입출력 장치 : 다 차원 조이 스틱, 데이터 글러브, HMD와 손 위치 추적 멀티미디어 기술 발달 음성 합성 및 디지털 음성 녹음, 음성 인식 다수의 일반인이 컴퓨터를 사용하므로 보다 쉬운 HCI 요구 문자 인식, 필기체 인식, 이미지 인식, 자연어 인식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컴퓨터 사용 (시공간 초월) 가상 현실, 가상 공간 인간 중심 기술 발달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의 연구 분야
- HCI는 정보 통신 산업 사회의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관련 시스템을 연구/개발함에 있어 생리적, 지능적, 감성적 특성 등의 인간 요소를 고려한 사용자 중심 설계를 추구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수용성이 우수한 최적의 컴퓨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 분야임
- 인간 공학
- 인간의 감각이나 운동에 관한 연구
- 산업 공학
- 컴퓨터와 조직에 관한 연구
- 심리학
- 행동과 개념에 관한 연구
- 인지 심리학
- 인지, 관심, 기억과 문제 해결, 사용자의 능력과 한계, 학습 등에 관한 연구
- 사회 심리학
- 사회적인 상황에서의 인간의 행동
- 사회학
- 좁게는 작업 공간에서, 크게는 사회에 영향을 주는 발전 된 기술에 관한 연구
- 컴퓨터 과학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시스템 구조나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언어학
- 언어에 관한 연구
- 대부분의 컴퓨터 운영체제는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GUI는 HCI의 주된 목적을 충족시키고 있음
- 인간의 다양한 인지 기능을 사용하는 멀티 모달(Multimodal)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음
- 앞으로도 차세대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 서비스가 인간 생활의 유용한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복합적이면서 지능적이고 인간적인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의 연구가 필요함
음성 관련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 기술
개요
- 음성을 통한 HCI
- 음성 인식
- 음성 합성
-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음성 인식 기술
- 1970년대에 태동한 음성 인식 기술은 사람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인 ‘말(언어)’을 통해 더욱 편리하고 인간적인 방식의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 기술임
- 인간의 사고를 컴퓨터 및 각종 정보 기기에 접목하기 위해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물리 장치와 WIMP(Window, Icons, Menus, Pointer)가 사고 전달을 받아 왔음
- 인간의 음성이 이를 대신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음성 인식 기술 부각 됨
- 사람의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기술 분류
- 음성 인식 (Speech Recognition) 기술
- 화자 인식 (Speaker Recognition) 기술
- 음성 인식
- 인간의 음성을 기계나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
- 일반적으로 음성 신호로부터 음성 텍스트를 인식하고 출력하는 기술
- 화자 인식
- 말하는 사람을 인식하는 기술
- 화자의 인식과 자연어 처리를 포함한 음성 이해와 의미 추출까지 포함
- 음성 인식 시스템
- 특정 화자에 대해서만 인식하는 화자 종속 시스템과 화자와는 상관없이 인식하는 화자 독립 시스템으로 분류 됨
- 화자 인식
- 화자 식별 / 화자 검증으로 분류됨
- 음성 인식 기술의 가장 큰 문제점
- 사용자에 따른 인식률의 차이
- 주변 잡음에 따른 인식률 저하
- 인식 대상 어휘의 제한으로 인하여 인식 오류 발생
-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식을 활용하게 해주는 음성 인식 프레임을 활용함
- 모바일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의 수요 확대
- 많은 사람이 음성을 사용하여 상호 작용하려 함
- 다양하고 방대한 사용자 음성 데이터 확보 가능
- 다양한 수행 환경에서 다수 화자의 방대한 종류의 어휘 확보 가능
- 어디서나, 누구의, 어떤 말에 대해서도 음성 인식 기반 확보
- 이렇게 얻은 방대한 음성 데이터의 어휘, 문법 등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어 음성 인식을 위한 음향학적 및 언어학적 지식의 체계화
- 모바일 환경 음성 검색 서비스
- 자연어 음성 인식 기술의 필요에 의해 자연어 음성 인식 기술을 개선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음
음성 합성 기술
- 음성 합성
- 글을 말로 바꾸는 기술(TTS)
- 자동 응답 시스템에서 듣는 기계음의 목소리, 인터넷 신문의 기사 읽어 주기, 이메일 읽어 주기, 음성 포털, 게시판 및 전자책, 가전제품 등 가정과 산업의 여러 방면에서 이용되고 있음
자연어 처리 기술
- 자연어 처리 (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컴퓨터가 사람의 일상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지적 활동의 보조자 및 지원 도구로 활용하는 기술
- 상용화되면 사람들은 특별한 형식의 언어나 명령 없이도 컴퓨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됨
- 컴퓨터가 사람의 일상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지적 활동의 보조자 및 지원 도구로 활용하는 기술
- 자연어 처리 기반 검색 기술
-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정형/비정형 데이터에 인간의 일상 언어로 질의하여 결과를 문장으로 제공하는 기술
- 음성 검색 기술은 무제한 자연어 음성 인식 기술을 필요로 하며, 음성 대화 서비스의 출발선으로 볼 수 있음
- 유선 인터넷 검색에 대비되는 모바일 검색의 차이점
- 정확한 검색이 되어야 하고 개인 최적화 검색이 요구된다는 점
- 이것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는 단순 음성 검색 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대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되고 정확한 검색을 제공하는 음성 대화 서비스가 필요함
- 정확한 검색이 되어야 하고 개인 최적화 검색이 요구된다는 점
- 음성 대화 서비스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편리한 정보 검색 뿐만 아니라 외국어 학습 용도로도 큰 관심을 받고 있음
- 외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대화형 학습에 대한 수요가 매우 증가하는 상황임
- 단순 음성 검색에서 대화형 검색 서비스로 발전하는 것처럼 외국어 발음 평가에서 대화형 말하기 교육으로 발전하고 있음
인간과 착용형 컴퓨터와의 상호 작용 기술
개요
- 인간과 착용형 컴퓨터의 상호 작용을 위한 착용형 HCI (Wearable HCI) 기술
- 인간 중심 기술의 중심에 있는 HCI 기술과 착용 컴퓨팅 기술의 접목
- 착용 컴퓨팅 기술의 대표적 특징인 착용성을 가지는 상호 작용 기술 전반을 의미하며, 양손이 자유로운 채로 업무 수행 가능
- 인간 중심 기술의 중심에 있는 HCI 기술과 착용 컴퓨팅 기술의 접목
착용 컴퓨팅과 HCI (주요 기술)
- 기반 기술
- 무선 칩, 패키징, 전원 관리, 열 관리
- 디바이스 / 컴포넌트 기술
- 마이크로 센서, 메모리, 전원 공급, 키보드/입력 장치, 바코드 스캐너, 디스플레이, 모바일 컴퓨터, 프린터
- 소프트웨어 기술
- 운영체제, 미들웨어, 장치 관리/보안, 음성 인식, 응용 프로그램
- 착용 솔루션 기술
- 벨트/머리 착용 장치, 손목/손가락/팔 착용형 장치, 신체 부착형 및 생체 이식형 장치, 의복 내장형 장치
착용 컴퓨팅과 HCI
- 사용 환경은 실내나 실외 한곳에 국한되기보다 실 내외 환경 모두에서 사용하기를 원함
- 착용 시스템을 데이터, 음성, 오디오, 비디오 등 데이터 전송 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많음
- 착용 시스템에 사용할 무선 통신 기술은 802.11 ac/n, 블루투스, ZigBee 등이 있음
- 착용 컴퓨팅 기술의 기본 기능
- 착용을 의식하지 않을 정도의 무게감과 자연스러움을 느끼는 착용감
-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끊김 없는 통신을 지원하는 항시성
- 신체적인 피로의 최소화 및 유해 요소를 차단하는 안정성
- 사회/문화적 통념에 부합하는 외형의 사회성
- 섬유/패션 분야에서는 기능성 섬유, 섬유의 IT화 등과 같이 의복 또는 섬유의 기능을 다양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 첨단 기술과 융합되어 IT를 통한 스마트 섬유, 나노 기술을 접목한 나노 복합 섬유,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의료용 섬유 등 개념 소재로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음
- HCI 기술은 사용자, 컴퓨팅 시스템, 상호 작용을 기본 구성 요소로 함
-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유용성(usefulness)과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성(usability)을 추구하며 감성(affect)의 원칙을 충족하기 위하여
- 설계(design)와 평가(evaluation), 분석(analysis)의 절차를 거치며 개발 됨
-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유용성(usefulness)과 기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성(usability)을 추구하며 감성(affect)의 원칙을 충족하기 위하여
- 착용형 HCI
- 착용 컴퓨팅 기술의 기본 기능을 만족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인터페이스 장치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 모델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는 기술.
- 착용형 HCI 기술의 특성
- HCI의 기본 기능인 유용성, 사용성, 감성을 만족 시키면서, 동시에 착용 컴퓨팅 시스템의 기본 기능인 착용성, 사회성, 안정성, 항시성 등이 고려되어야 함.
착용 컴퓨팅과 HCI 구분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
개요
- 인간과 로봇 상호작용 (HRI: Human-Robot Interaction) 기술
- 로봇이 사람의 말과 몸짓, 표정, 목소리 등으로 사람의 의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맞는 행동을 하기 위한 기술
-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서 인지적, 정서적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호 작용 환경을 설계하고 구현 및 평가하는 기술
- HRI는 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기반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핵심 기술
- HRI 기술은 로봇의 자율성, 상호 작용의 양 방향성 등에서 HCI와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음
- HRI 기술의 주요 가치는 협동성, 편리성, 친밀성임
- 협동성
- 사람과 로봇이 현재 상황에서 이루고자 하는 일의 목표와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공유해야 한다는 의미
- 로봇이 사람이 원하는 일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면, 로봇은 사람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사람과 협력하여 주어진 일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임
- 사람과 로봇이 현재 상황에서 이루고자 하는 일의 목표와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공유해야 한다는 의미
- 편리성
- 효과적인 상호 작용과 사용자 편의의 증대를 의미함
- 로봇에게 원하는 일을 시키기 위해 복잡한 프로그램을 키보드로 입력해야 하는 것과 몇 마디 말로 명령하는 것의 차이를 생각해 보면,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이 추구하는 편리성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효과적인 상호 작용과 사용자 편의의 증대를 의미함
- 친밀성
- 사람과 로봇 간의 정서적/사회적 관계에 대한 의미 부여임
- 로봇이 사람의 감정 상태를 이해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어야 로봇이 인간의 진정한 동료나 도우미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함
- 사람과 로봇 간의 정서적/사회적 관계에 대한 의미 부여임
- HRI 기술의 세 가지 가치(협동성, 편리성, 친밀성)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기술에 관한 연구가 필요함
- 협동성을 추구하기 위한 인지적 상호 작용
- 사용자의 편리성 증대를 위한 멀티 모달 상호 작용
- 인간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위한 감정 상호 작용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 관련 기술
- 인간과 로봇 상호작용 기술의 분류
- 인식 기술
- 원격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 인지 및 감정 상호 작용 기술
대분류 중분류 인식 기술 음성 인식 제스처 인식 얼굴 인식 촉각/힘 인식 감정 인식 원격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 매개 인터페이스 힘 반향 원격 조종 장치 힘 반향 제어 및 통신 정보 표현 및 공유 인지 및 감정 상호 작용 기술 사용자 의도 인식 및 대응 기술 감정 생성 및 표현 기술 - 인식 기술
-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인간과 로봇이라는 두 개체 간의 상호 작용 및 의사 소통 연결 고리를 형성하는 기술
- 음성 인식, 제스처 인식, 촉각/힘 인식 및 감정 인식은 원격지에 위치한 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임
-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인간과 로봇이라는 두 개체 간의 상호 작용 및 의사 소통 연결 고리를 형성하는 기술
- 인지 및 감정 상호 작용 기술
- 인간과 로봇 간의 암묵적, 쌍 방향적 의사소통을 위한 기술
- 영상 기반 상호 작용 기술
- 인간과 로봇의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한 수단 중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인터페이스 기술
- 얼굴 인식 및 검증, 제스처 인식, 모션 분석 및 행동 인식, 얼굴 표정 인식 등이 있음
- 음성 기반 상호 작용 기술
- 음성을 통해 인간과 컴퓨터 또는 인간과 로봇 간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핵심 기술임
- 관련 기술로는 로봇에 부착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얻은 음성 정보에 근거한 음성 인식 및 화자 인식, 음원 추적 및 음원 분리, 음성에서의 감정 인식 등이 있음
- 영상 및 음성 기반 상호 작용 기술의 대표적인 세 가지 기술
- 원거리 얼굴 인식 기술
- 제스처 인식 기술
- 음성 인식 및 화자 인식 기술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 관련 기술 - 1) 원거리 얼굴 인식 기술
- 로봇의 카메라로부터 입력 된 영상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여 신원을 부여하고 인증하는 기술
- 인간과 로봇의 자연스러운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기 위한 수단 중 가장 중요하고 유용한 지능형 시각 인터페이스 기술임
- 지능형 로봇과 디지털 홈 등에서 근 거리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도 사용자 얼굴 인식이 가능해야 함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 관련 기술 - 2) 제스처 인식 기술
- 로봇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사람의 손이나 몸동작을 인식 및 분석하여 사용자 의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임
- 로봇에게 인간의 의사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손의 제스처가 자주 이용되는데, 로봇이 이러한 인간의 제스처를 이해하는 기술임
-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늘어남에 따라 제스처 인식의 중요성도 함께 증가함
- 제스처 인식은 먼 거리나 잡음 환경에서도 인간과 로봇 간의 정보 전달 수단이 될 수 있음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 관련 기술 - 3) 음성 인식 및 화자 인식 기술
- 로봇이 사용자의 음성으로부터 발성 내용을 인식함으로써 음성을 통해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 인간과 로봇이 음성을 통해 의사 소통할 수 있는 음성 인식 기술과 특정 주제에 대해 인간과 로봇이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언어 이해 기술이 요구됨
- 화자 인식 기술은 로봇이 인간의 음성으로부터 발성 내용에 상관없이 발성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하는 기술
- 로봇이 사람과 같이 생활하면서 우리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지능형 청각 인터페이스 기술임
정리 하기
- 인간과 컴퓨터 상호 작용(HCI)은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쉽고 편하게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지와 관련된 학문임
- 인간과 로봇 상호 작용(HRI) 기술은 로봇이 사람의 말과 몸짓, 표정, 목소리 등으로 사람의 의도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그에 맞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기술임
연습 문제
HCI(Human-Computer Interactio)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a. 사물
- HCI(Human-Computer Interactio)의 구성 요소
- 인간
- 컴퓨터
- 상호 작용
- HCI(Human-Computer Interactio)의 구성 요소
음성을 통한 HCI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a. 상황 인식
- 음성을 통한 HCI에 포함 되는 것
- 음성 인식
- 음성 합성
- 자연어 처리
- 음성을 통한 HCI에 포함 되는 것
착용 컴퓨팅 기반의 HCI에서 운영체제, 미들웨어, 장치 관리/보안, 음성 인식, 응용 프로그램 등의 기술 분류는 무엇에 해당하는가?
a. 소프트웨어 기술
정리 하기
-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 작용(HCI)
- 사람과 컴퓨터 시스템과 쉽고 편한 상호 작용 방법의 연구
-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상호 작용 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중간 매개로 사용하여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작용도 포함함
- 주요 구성 요소
- 인간, 컴퓨터, 상호 작용, 태스크(Task), 상황(환경 정황)
- 음성 인식 기술
- 사람의 기본적인 의사소통 수단인 말(언어)을 통해 보다 편리하고 인간적인 방식의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 기술
- 음성 합성 기술
- 글을 말로 바꾸는 기술
- 자연어 처리 기술
- 컴퓨터가 사람의 일상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지적 활동의 보조자 및 지원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기술
- 착용형(인간과 컴퓨터의)상호 작용 기술
- (인간과 컴퓨터의)착용형 상호 작용 기술(Wearable HCI)은 인간 중심 기술의 중심에 있는 HCI 기술과 착용 컴퓨팅 기술의 융합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