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론] 6강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Post
Cancel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론] 6강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해당 게시글은 방송통신대학교 정광식 교수님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론' 강의를 개인 공부 목적으로 메모하였습니다.



학습 개요


  • 정보화 사회에서 네트워크는 원활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지기 위한 핵심 기반 기술에 해당되며,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도 당연히 네트워크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 인간과 컴퓨터 간의 통신이 주를 이루던 정보화 사회에도 네트워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였지만, 사물까지 연결해야 하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네트워크는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기술 요소가 됨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개념 및 구조를 익히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공부함



학습 목표


  •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어떤 네트워크 기술 요소가 필요한 이유를 유비쿼터스 사회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통해서 이해함
  •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함
  • 유비쿼터스 시대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 방향을 이해함



강의록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의 개념

  • 유비쿼터스 컴퓨팅 산업의 기반 요소
    1. 컴퓨팅 장치의 성능의 향상다양한 기능 수행 가능
    2. 컴퓨팅 장치의 소형화 및 가격 하락을 통한 대중화
    3.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연결 가능한 유 · 무선 통신망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
    • 컴퓨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단말이 네트워크에 상시 접속되어, 누구든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환경 또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통신 단말기든, 어느 통신망을 통해서든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5Any(Anytime, Anywhere, Anynetwork, Anydevice, Anyservice) 등작을 요구하는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는 사람 대 사람, 사람 대 사물, 사물 대 사물 사이의 통신을 지원
  • 사람 대 사람 통신
    • 사람이 접속 되어 있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기기를 이용한 통신을 말함
  • 사람 대 사물 통신
    • 사람이 데이터 수집이나 헬스 케어 등의 특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물과 통신하는 것을 의미함
  • 사물 대 사물 통신
    • 사람이 관여하지 않아도 한 사물이 다른 사물과 정보를 주고 받는 통신을 의미함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구조적 모델

image.png

  • 차세대 네트워크(NGN)에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지원한다는 것은 어떤 사물과도 연결 가능해야 하며, 유비쿼터스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해 인터넷과의 연결이 지원되어야 함을 의미함
  • 상황 인식 서비스가 끊김 없이 원할하게 지원되어야 하고, 멀티 네트워킹 기능 및 네트워크 상의 종단 연결성이 지원되어야 함
  • 최종 사용자(End-User) 기능
    • 연결과 협력을 위한 최종 사용자 측면의 기능을 나타냄
    • 정보 수집, 처리, 저장 등 통신 외의 다양한 기능도 포함 됨
    • 사물의 유형에 따라 추가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물들 사이에 협력하는 기능이 필요함
    • 물리적인 사물과 관련된 데이터를 찾아서 처리하기 위해 사물에 부여 된 유일한 식별자를 필요로 함
  • 차세대 네트워크 전송 층
    • 사물이 갖는 각기 다른 규격의 직접 통신이나 데이터 교환 방법에 대해 전송 층에 각 단말의 다양한 통신 방식과 다른 독립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전송 층은 사물과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사물과 주어진 응용 프로그램 간에 메시지 교환(다른 형식의 메소드 호출, 서비스 요청, 응답, 알림 메시지 등)을 전송하고 번역함
    • 전송 층은 사물의 목록을 유지하고 주소 매핑을 실시함
  •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층
    • 사물의 수행 환경과 상황 정보는 통신하는 단말이나 사용자의 이동, 실행 환경의 변화 등 여러 통신 환경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사물은 예측할 수 없는 실행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어야 함
    • 네이밍(naming) 서비스처럼 네트워크 곳곳에 분포 된 각각의 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의해 요청된 정보를 찾기 위해 지역적으로 데이터 저장소를 필요로 함
    • 서비스 층은 전송 층과 상호 작용 중에도 현재의 상황 파악을 위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함
    •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층(NGN Service Stratum)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실행 가능성 및 확장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안 기능도 제공함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응용 프로그램
    •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생성
    • 여러 사물들이 사전에 수집한 데이터는 의미 있는 정보로 변환되어 여러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에 제공됨
    • 사물에 대한 IdM(Identification Mannagement) 기능과 관리 기능
      • 최종 사용자 측면과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전송 층을 모두 필요하며, 사물 대 사물 통신 지원에 필요함

차세대 네트워크(NGN)

  • 어떤 특정한 기술을 의미하기보다는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진화 방향으로서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통합 망으로 보다 다양하고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 미국에서 사용하는 차세대 네트워크(NGN)란 기존 망들이 가지고 있는 단점과 한계 점을 극복하여 보다 고도화 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인프라를 가리킴
  • NGN은 기구축된 모든 망을 단계적으로 차세대 망으로 교체하여 통합된 망으로의 발전을 의미

광대역 통합망(BcN)

image.png

  • 우리나라에서는 광 대역 통합 망(BcN)을 주로 사용하며, 유 · 무선 및 통신 방송이 융합되는 정보 통신 환경에서 품질이 보장되는 광 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정보 통신 망으로 정의하였음
  • 우리나라의 BcN은 유선 사업자들이 주도하는 차세대 기반 망과 무선 사업자들이 주축이 되는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All IP) 망의 구축을 통해 처음부터 융합된 망으로 시작하고 고도화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로 발전시킨다는 의미
  • 일반 전화 교환 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비 동기 전송 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프레임 릴레이(FR: Frame Relay), 전용 망, 무선 통신 망 등 모든 통신 네트워크를 패킷 기반의 공통 망으로 통합해 망 구축 비용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유연하고 개방적인 네트워크 솔루션과 다양한 응용을 제공
  • BcN은 데이터 통신에만 국한되던 패킷 전송 기술을 다양한 형태의 통신 서비스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통신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융합화패킷화가 주요 특징임
  • BcN의 통합 망적 특성은 음성과 데이터, 영상 등을 동시에 수용하고, 인터넷 전화,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
  • 분리되어 왔던 유선과 무선 망을 All IP기반의 BcN망으로 통합함으로써 유 · 무선 망간의 장벽을 낮추어 개방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망의 기능을 높여서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충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
  • BcN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단말을 사용하여 통신망 종류에 무관하게 통신, 방송, 인터넷이 융합 된 품질 보장 형 광대 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끊김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음
  • BcN은 유 · 무선 통합, 음성 · 데이터 통합, 통신 · 방송 융합 형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통합 네트워크임

사물 대 사물 통신

image.png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는 사물 대 사물 통신(M2M: Machine-to-Machine)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환경
  • 사물(objects)이란 네트워크에 연결 된 사용자나 다양한 개체를 의미하며, 원격 모니터링 장비, 각종 센서 및 시스템 등과 같이 우리 주변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대상임
  • 사용자의 단말기 및 웨어러블 기기, RFID 센서, 다양한 목적의 디바이스, 콘텐츠, 응용 프로그램, 차량 등 모든 형태가 사물이 됨
  • 우리 주변의 여러 사물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종단간 연결 성장을 통해 독립적으로 통신함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고려되는 세 가지 유형의 사물
    • 고정 사물(Fixed Objects)
      • 이동이 없는 사물
    • 이동 사물(Mobile Objects)
      •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 중인 사물
    • 논리적 사물(Logical Objects)
      • 서버 상의 응용 프로그램이나 콘텐츠 같은 객체로 연결성 제공을 위한 개체
  • 사물은 집, 빌딩과 같은 고정 환경에서 동작할 수도 있고, 차량과 같은 이동 환경일 수도 있음
  • 유 ·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NGN)에 연결되어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

사물 인터넷

사물 인터넷

  • 각종 사물에 컴퓨터(프로세서와 통신 모듈)를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기술
    • 모든 종류의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함을 의미
    • IoT는 사물(센서),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의 융합
  • 사물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수집,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들의 전송, 수집 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기술
    • 사람들이 제어하지 않더라도 스스로 자율적으로 동작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음
    •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IoT)

ChatGPT 질문 2 : 챕터 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광식: 사물 인터넷의 특징을 정리해줘
GPT: MEMS(마이크로 전기 기계 시스템)는 작고 복잡한 기계 및 전기 시스템을 작은 칩에 통합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결성: 사물 인터넷은 다양한 장치들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물들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센서와 액추에이터: 사물인터넷은 센서를 통해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액추에이터를 통해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3. 데이터 수집과 분석: 사물 인터넷은 대규모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4. 자동화와 자율적인 의사 결정: 사물 인터넷은 자동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인간의 개입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5. 보안과 프라이버시: 대규모의 연결된 장치들은 보안과 프라이버시 문제에 민감합니다. 
사물인터넷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적절한 보안 및 프라이버시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사물 인터넷이 혁신적인 기술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사물 인터넷에서 사물의 의미

  • IoT에서 사물은 주로 네트워크에 연결 된 다양한 디바이스 장치를 의미하며, 임의의 소형 처리 장치(컴퓨터)가 부착 된 일종의 임베디드 시스템
  •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TV나 냉장고와 같은 가전 제품, CCTV, 드론 등 거의 모든 물체가 사물이 될 수 있음

사물 인터넷에서 사물의 의미

  • 사물에 부착된 디바이스(소형 처리 장치, 컴퓨터)는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센서, 수집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처리 장치 및 저장 공간,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모듈, 그리고 자체 전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IoT에서 사물 대 사물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

  • 사물 대 사물 통신을 위한 통신 매체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항상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야 함
  • 사물이 어느 정도 지능적으로 동작한다면, 일부 데이터 처리 기능이 네트워크의 가장자리 쪽에서 수행될 수 있어서 전체 시스템에서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음
  • 네트워크 구성 요소는 모든 종류의 사물에 설치 가능하도록 충분히 작아야 함

사물 대 사물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요구 사항

  1. 사물은 제한된 일부 처리 능력만 갖춘 경우가 많으므로, 불필요한 부하는 제거하고 통신 계층은 최적화된 경량 프로토콜이 적합함
  2. 사물의 실행 환경을 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자동화, 자가 환경 설정, 네트워크 적응 기능이 제공 되어야 함
    • 통신 범위 안에 진입하는 사물과 통신하기 위해서는 자동 발견 기능이 요구됨
  3. 사물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필요한 모든 설정 값을 얻을 수 있어야 함
    • 자동화 된 사물 사이에 끊김 없는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성 관리가 요구 됨
  4. 네트워크 크기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사물의 수만큼 증가 됨
    • 점점 더 많은 통신 사물을 포함할 수 있도록 확장성이 요구 됨
  5. 각 통신 사물은 서로 종단 간 연결성을 위해 고유한 식별 값을 갖도록 권장 됨
    • ex) IPv6 주소
  6. 프로그래밍 플랫폼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을 제공해야 함
  7. 필요한 수준의 QoS(Quality of Service)QoE(Quality of Experience)가 제공되어야 함
    • 특히 중요한 사물은 적절한 때에 정확하게 처리되어야 함
    • 통신 오류의 발견 기능 및 발견 즉시 수정할 수 있어야 함

M2M과 IoT

  • 사물 통신이라고 불리는 M2M은 21세기 초에 정립된 개념으로 모든 사물에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상호 전달하는 기술
  • IoT는 인간과 사물, 서비스 등 분산 된 구성 요소 간에 인위적인 개입 없이 상호 협력하여 센싱, 네트워킹, 정보 교환 및 처리 등의 지능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물 공간 연결망
  • 연결의 대상이 인간에서 사물, 공간, 지능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확장됨
  • 정보의 수집도 직접 입력에서 센싱(sensing)의 개념으로 변화함

IoT의 주요 기술 요소

image.png

  • 본래 사물들은 기본적으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적절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부분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함
  • 하부에 위치한 다양한 목적의 사물들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물들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아서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플랫폼, 그리고 수집 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음
  • IoT의 3대 주요 기술은 센싱, 유 · 무선 네트워크,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로 구분할 수 있음
  • 사물 식별 기술
    • 기존의 네트워크 단말을 대신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무선 인식), 센서, 스마트 카드 같은 새로운 형태의 장치에 대한 식별 기능
    • Connecting to Anything을 지원하기 위한 상세한 기술적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음
      1. 사물의 식별
      2. 사물의 위치 찾기/추적
      3. 네이밍과 어드레싱에 의해 차세대 네트워크(NGN)에 연결성 제공
    • 사물 대 사물 통신을 위해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에서 종단 점 위치한 사물에 대한 정보는 네트워크에서 식별 될 수 있음
    • 사물의 신원(identity)은 일정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으며, 또한 특정 종단 시스템에 영향을 받지 않음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환경에서 종단 간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사물의 식별은 중요함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에서 식별자는 대상 사물을 식별하고 사물 대 사물 통신을 가능하게 함
    • 전체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일한 식별자는 사물의 추적, 접속 제어, 보호 등의 기능을 활용하는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 필수적인 기능임
  • 데이터 처리 및 관리 기능
    • IoT 관련 기반 기술이 발전하고 이를 응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짐에 따라 생성되고 처리되어야 할 데이터의 종류나 양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음
      • 3V: 더욱 많이(Volume), 더욱 빠르게(Velocity), 더욱 다양하게(Variety)
    • IoT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정보를 가공하고, 분석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분석 기술이 필요함
    • 분석 알고리즘의 고도화, 머신 러닝 및 딥 러닝과 같은 기술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실시간으로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술과 감지된 상황 변화 정보를 제한 된 시간 내에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함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후 클라우드 시스템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전망되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 오픈 소스 기술 등도 활발하게 연구될 것임
    • 여러 사물이 수집한 다양한 빅 데이터의 분산 처리 능력도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임
  • IoT 통합 플랫폼 기능
    • IoT의 미래 서비스 시장은 대규모 사물과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개방형 사물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크게 확산될 것으로 예측됨
    • IoT 플랫폼의 주요 기능
      1. 이기종 센서들을 식별한 후 연결하는 기능
      2. 각 사물에 대한 제어 기능
      3. 대규모 센서들로부터 수집 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
      4. 수집 된 대용량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 분석하는 기능
      5. 웹을 통한 개방형 서비스 제공 기능
  • 보안 기능
    • 많은 수의 다양한 사물들의 연결, 수집 된 정보를 서버에 전달,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중에서
      • 각 과정에서 외부의 악의적인 공격에 의해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
    • 이에 따라, IoT에서의 보안 기술이 더욱 중요하게 됨

IoT의 주요 응용 분야

  • 보건·의료 분야에 적용되어 원격 진료와 웨어러블 컴퓨터가 만들어졌고, 전력 분야에 적용되어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교통 분야에 적용되어 커넥티드카(Connected Car)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으로 발전하였음
  • 제조업의 생산 공정에 도입되면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 즉 첨단 생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
  • 로테크(low-tech)산업으로 인식되어 온 농수산식품산업에도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가 적용되어 스마트 농장, 식물 공장이나 스마트 푸드 시스템 등 고부가 가치의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하고 있음
응용 분야주요 기능
에너지신 재생 에너지원, 전력 망, 전력과 에너지 소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배전 회사와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동시에 적절히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분산 지능형 통합 시스템
교통/ 운송사용자가 더 안전하고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형태의 운송 수단 및 교통 체계를 관리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기술
제조업전 생산 공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시점에 좀 더 유용한 형태로 가공하여 취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통합 처리 시스템
의료진보 된 응용 기기(모바일/스마트 장치, 센서, 액츄에이터 등)를 통해 환자와 의료진에게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 시키는 공공 및 개인 의료 체계 구축
공공시민의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한 차원 높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실시간 정보 체계 구축
고객 서비스구매에서 엔터테인먼트에 이르기까지 기술과 개인 삶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응용 서비스 제공
건축/ 주거스마트폰이나 모바일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전등, 난방, 가전 기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건물과 관련된 응용 시스템
  • 인공지능 기술이 성숙되면서 IoT 분야에도 빠르게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지능형 사물 인터넷(AIoT)이라고 함
  • ICT 분야 기술 로드맵 등을 살펴보면, 향후 IoT는 주변 상황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예측한 후, 판단까지 할 수 있는 지능화 된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융복합 기술로 예상하고 있음
  • IoT의 연결형, 지능형, 자율형 서비스를 고도화 하기 위해 인공 지능 기술이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됨

정리 하기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은 컴퓨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상시 접속 되어, 누구든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환경 또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의미함
  • 사물 인터넷이란 사물에 통신 및 처리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함



연습 문제


  1.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구조적 모델에서 사물의 수행 환경과 상황 정보는 통신하는 단말이나 사용자의 이동, 실행 환경의 변화 등 여러 통신 환경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각 사물은 예측할 수 없는 실행 상황에도 대처하는 계층은 무엇인가?

    a.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층

  2. 사물 인터넷에서 서버 상의 콘텐츠 같은 객체의 사물 유형은 무엇인가?

    a. 논리적 사물

  3. 위 지문의 빈칸에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1
    2
    3
    
     하부에 위치한 다양한 목적의 (  )들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물들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서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  ), 
     그리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  )으로 구분할 수 있다.
    

    a. 사물, 플랫폼, 응용 프로그램



정리 하기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
    • PC 뿐만 아니라 모든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항상 접속 되어, 누구든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환경 또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구조적 모델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최종 사용자(End-User) 기능
      • 최종 사용자 기능은 연결과 협력을 위한 최종 사용자 측면의 기능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차세대 네트워크 전송 층(NGN Transport Stratum)
      • 전송 계층에 각 단말의 다양한 통신 방식과 독립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차세대 네트워크 서비스 층(NGN Service Stratum)
      • 서비스 층은 전송 층과 상호작용 중에도 현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능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응용프로그램은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고 가공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
  • 광대역 통합망 (BcN)
    • 유선 사업자들이 주도하는 차세대 기반 망과 무선 사업자들이 주축이 되는 통합 인터넷 프로토콜 망의 구축을 통하여 처음부터 융합된 망으로 시작한 후 단계적인 고도화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로 발전함
  • 사물 인터넷에서의 사물 유형
    • 고정 사물(Fixed Objects)
      • 이동이 없는 사물
    • 이동 사물(Mobile Objects)
      •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 중인 사물
    • 논리적 사물(Logical Objects)
      • 서버 상의 콘텐츠 같은 객체로 연결성 제공 및 서비스를 위한 객체
  • 사물 인터넷 (IoT ; Internet of Things)
    • 각종 사물에 컴퓨터(프로세서와 통신 모듈)를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기술
    • 모든 종류의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함을 의미
    • IoT는 사물(센서), 네트워크, 데이터, 서비스의 융합

[Java 프로그래밍] 7강 - 패키지와 예외 처리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론] 7강 - 블록 체인과 핀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