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개요
- 엑셀로 데이터를 분석할 때 수치로 표현된 분석 결과들을 단순하게 나열하는 것보다 그래프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임
- 그래프를 이용은 데이터가 갖고 있는 정보와 그 의미를 시각적으로 요약해서 나타내어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
- 실제 데이터 분석과 관련하여 널리 사용되는 있는 원 그래프, 사각형 그래프, 막대 그래프, 꺾은 선 그래프 등에 대한 개념과 엑셀을 이용해서 이들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봄
학습 목표
- 그래프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음
- 원 그래프와 사각형 그래프를 작성할 수 있음
- 막대 그래프를 작성할 수 있음
- 꺾은 선 그래프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음
주요 용어
- 정성적 데이터(qualitative data)
- 명목 형 척도나 순서 형 척도로 측정 된 데이터
- 정량적 데이터(quantitative data)
- 구간 척도나 비율 척도로 측정 된 연속 형 데이터
- 원 그래프(pie chart)
- 각 항목 별 비율을 나타낼 때, 각 항목의 비율과 원 그래프에서 각 항목을 나타내는 면적의 비율이 같게 만든 그래프
- 사각형 그래프
-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을 띠 모양의 사각형에 면적의 비율이 같도록 나타낸 그래프로 집단 별로 비교할 때 효과적임
- 막대 그래프(bar chart)
- 정성적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 흔히 사용 됨
- 세로 막대 형과 가로 막대 형이 있음
- 시계 열 데이터
- 시간의 흐름에 따라 특성 치를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
- 꺾은 선 형 그래프
- 시계 열 데이터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나 추세를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그래프
강의록
개요
통계 분석에서 그래프의 역할
- 데이터가 갖고 있는 정보를 요약하여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보여줌
-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음
- 잘못 표현된 그래프는 정보와 그 의미를 왜곡해서 전달 할 수 있음
- 데이터 특성과 분석 목적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프 종류가 달라짐
- 데이터에 알맞은 그래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 정량적 데이터(quantitative data)이냐 정성적 데이터(qualitative data)냐에 따라 사용 가능한 그래프도 달라짐
원 그래프와 사각형 그래프
원 그래프(원형 차트, pie chart)의 개념
- 전체에 대한 항목 별 비율이나 백분율을 강조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됨
- 항목에 대한 상대적 비교가 쉬움
-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과 원 그래프에서의 면적의 비율을 같게 만든 그래프
원 그래프를 그릴 때 참고할 사항들
- 그래프에 대한 간단한 제목 제시
- 외부 데이터를 이용하였다면 그 출처를 밝힐 것
- 원 그래프의 조각은 8개 조각 보다 작게 할 것
- 작은 비율의 항목은 묶어서 ‘기타‘로 처리
- 특정 조각의 강조
- 나머지 부분과 분리, 어둡거나 밝은 색 또는 무늬 이용
원 그래프(pie chart)의 작성 절차
- B열과 C열에 각각 프로그램 이름과 각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률 입력
B3:C8
셀에 있는 프로그램 이름과 시청률을 드래그 & 드롭으로 선택하고, 삽입 리본 메뉴의 [차트] 그룹 사용대화 상자에서 차트 유형을 ‘원형‘으로 선택한 후 세부 모양 결정
- [차트도구] 탭의 [레이아웃] 그룹에서 [차트제목]을 눌러서 원 그래프 제목 입력
[데이터 레이블]을 클릭해서 원 그래프의 표현 양식 결정
조각 강조하기: 분리를 원하는 조각을 마우스로 클릭해서 선택하고, 드래그&드롭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사각형 그래프(띠 그래프)의 개념
원 그래프와 유사한 그래프로 집단 별 차이를 살펴서 비교하는데 효과적임
‘세로 막대형’, ‘가로 막대형’ 중 선택
막대형 그래프 작성 절차 (사각형 그래프)
A3:C8
셀에 있는 프로그램 이름과 시청률 데이터를 드래그 & 드롭으로 선택[삽입] 탭의 [차트] 그룹에서 “세로 막대형” 선택하여 세부 모양 결정
“계열 위치”를 “행”으로 지정한 후 그래프를 보기 좋게 수정
막대 그래프
막대 그래프(bar chart)의 활용
- 주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용됨
- 수직 막대 그래프
- 차트 종류에서 “세로 막대 형” 선택
- 수평 막대 그래프
- “가로 막대 형” 선택
- 막대 그래프 작성 법
- 원 그래프 작성 법과 유사하며, 차트 마법사 대화 상자에서 알맞은 차트 유형과 세부 모양을 결정하여 작성함
세로 막대 형
가로 막대 형
막대 그래프의 예: 시청률 데이터
그룹 간 비교,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파악에 적합
꺾은 선 그래프
시계 열 데이터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측정치를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
- ex) 대기 오염도, 주가 또는 환율 동향, 수출입 동향, 월별 판매량, 실업률 등
꺾은 선 그래프
- 시계 열 데이터의 시간 흐름에 따른 경향 파악에 유용
- 차트 종류에서 “꺾은 선 형” 선택
- 참고
- 데이터 수집 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기간 구분이 없는 데이터의 추세나 변화는 “꺾은 선 형” 보다는 “분산 형“을 선택하여 그래프 작성
꺾은 선 그래프의 예
두 지역의 연도 별 오염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고,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는데 효과적
꺾은 선 그래프를 작성할 때 주의할 사항
- Y축의 눈금을 얼마나 세분화 하는 가에 따라 그래프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그래프 1
- 대기 오염도의 변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줌
그래프 2
- 대기 오염도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처럼 보임
- X 축의 시작 점에 따라 그래프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
- 시계 열 데이터에서 X축의 시작 시점을 무엇으로 정하는가에 따라서 그래프의 해석이 달라짐
- 그래프는 효과적인 정보 전달도 가능하지만, 어떻게 작성 했는가에 따라 왜곡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음
그래프 1
그래프 2
- 첫 시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6개 시점의 데이터 만을 이용하였음
- 첫 시점을 제외하고 그래프를 그려서 대기 오염도에 거의 변화가 없어 보임
실습 : 시청률 데이터
원 그래프 그리기
사각형 그래프 그리기
연습 문제 풀이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전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음 관계 식에 따라 떨어진다고 한다. 시간을 0부터 10초까지 변화 시키면서 전압을 계산하고, 그래프로 나타내시오.
“분산형” 선택해 다음과 같은 차트 작성
시간에 따른 축전지의 전압 변화 나타냄
=10*EXP(-0.5**A2)
연습 문제
다음과 같은 성별 도수 분포를 그래프로 나타내고자 한다. 적합한 그래프끼리 묶인 것은?
구분 도수 백분율 남자 27 67.5% 여자 13 32.5% 합계 40 100% a. 막대 그래프, 원 그래프
사람들이 즐겨보는 TV 프로그램에 대한 비율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이러한 경우 전체에 대한 항목별 비율을 비교하거나, 특정 항목을 강조하기 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그래프는?
1
뉴스 : 33.3%, 연속극 : 36.3%, 스포츠 : 9.1%, 오락 : 11.5%, 기타 : 9.9%
a. 원 그래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측된 시계 열 데이터의 추세 변화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다음 중 이와 같은 분석 목적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그래프는?
a. 원 그래프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측 된 시계 열 데이터의 추세 변화나 경향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그래프
- 꺾은 선 그래프
- 세로 막대 형 그래프
- 분산 형 그래프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측 된 시계 열 데이터의 추세 변화나 경향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그래프
통계청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최근 5년 간의 매월 소비자 물가 지수 데이터를 구하여 적합한 그래프를 엑셀로 그려서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장 알맞은 차트의 종류는 무엇인가?
a. 꺾은 선 형
엑셀을 이용하여 간격이 일정한 시계 열 데이터의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엑셀 차트 중에서 가장 적합한 차트 유형은?
a. 꺾은 선 형